Subscribe to New Posts

Lorem ultrices malesuada sapien amet pulvinar quis. Feugiat etiam ullamcorper pharetra vitae nibh enim vel.

Subscribe Zalgritte's Blog cover image
Zalgritte profile image

Zalgritte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근무했습니다. 현재는 프론트엔드 개발을 배우고 있습니다. 인터랙티브 웹을 좋아합니다.

19 Posts
Seoul
ChatGPT로 미디어 아트 만들기 2 (이모지 아트) post image

이전 게시글 (ChatGPT로 미디어 아트 만들기 1)에 이어서... 조금은 다른 모습으로 하나 더 진행해보았다.

원래는 '디자이너와 개발자를 위한 AI로 인터랙티브 웹 만들기' 스터디에서 OT 내용으로 준비했던 것인데, 아쉽게도 스터디를 개설하지 못한 내용을 블로그로 풀어쓴다.

1. 아이디어 탐색

ChatGPT o1과 함께 아이디어를 탐색해보자.

0:00
/0:13

프롬프트는 딱히 테크니컬하게 들어가지 않는다.
아이디어를 찾는 것은 일단 쉽게, 지금의 생각을 펼쳐놓는 정도로만 진행한다.

새 인터랙티브 웹 페이지를 만드는 과정을 20분동안 시연을 할거야. 대상은 초보자들이라서, 간결하면서도 결과물이 명확하게 우와할 수 있어야 해. 어떤 아이디어들이 있을까? 네가 제안해줘

작성한 프롬프트

그러면 우리의 지선생이 몇가지 사례를 제안해준다.

2. 구체화

아이디어에서 영감을 얻은 게 있다면 곧바로 이어서 대화를 나눈다.

0:00
/0:14
비디오 웹캠을 활용하는게 역시 좋겠어. 
이건 내 아이디어야. 웹캠을 켜고 색상에 따라 이모지로 변환해서 보여주는 건 어떨까? 예를 들어 노란색이면 '🙂', 초록색이면 '💚' 이런식으로 색상을 이모지로 변환해서 일종의 아스키 아트를 만드는거지. 그리고 마우스 인터랙션도 추가해서, 마우스 위치에 있으면 그 주변의 이모지 크기가 2배는 커지는거야.

GPT의 답변을 보고 영감을 받아 다시 대화를 나눈 프롬프트

GPT의 답변 중에 여러 키워드들을 보며 얻은, 스파크가 튀는 순간을 포착해서 다시 대화를 나누어 본다.

이 역시 편안하게 진행한다. 어차피 계속해서 이야기를 나누며 좀더 기획을 구체화하면 된다.

3. 코드 실행 (복붙)

GPT가 작성해준 코드를 codesandbox로 가져가서 한번 붙여본다.

0:00
/0:20

사실은 이때, 여러번 수정을 진행했다.

뭔가 잘 안되서, 혹은 무언가 좀더 넣고 싶어서 계속해서 즉문즉답을 진행했다.

이런식으로 계속 수정하면서 결과물을 만들어나간다.

이 과정을 더 쉽게 하려면 Copilot, Cursor, Windsurf 등과 같은 AI IDE를 사용하면 된다. 그러면 수정하는 과정이 더 매끄럽고 편리해서 좋다.

0:00
/0:10
Dream-Reality : AI로 만드는 인터랙티브 웹 post image

Project SOK의 5번째 작품은 〈Dream-Reality〉이다.
꿈과 현실을 넘나드는 모습을 주제로 AI 영상을 활용하여 만들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작품을 만드는 과정을 간략하게 소개하면서 어떤 점들을 느꼈는지도 짤막하게 남기고자 한다.

포토샵 터치

제일 먼저, 다른 멤버(@Wonthekey)에게 받은 레터링 파일을 포토샵으로 옮겨와 리터칭을 해주었다.

블러, 리퀴파이, 그라디언트 맵을 혼합하면 아래와 같이 녹아서 흘러내리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은 유튜브에 Melting liquid effect를 검색하면 자세한 튜토리얼이 나온다.

Dream3-1.jpg
Reality3-1.jpg

이런 식으로 이미지를 여러 장을 준비한다.
루핑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2장이 아닌 4장이 필요하다.
Dream → Reality → Dream으로 돌아와야 하기 때문이다.

원하는 느낌을 어느정도 만들어주고 파일을 내보냈다.

AI 비디오 만들기 (Kling.ai)

Kling.ai에서는 아주 특별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바로 시작 프레임과 끝 프레임을 이미지로 지정하면 그 사이를 연결해주는 기능이다. 이를 사용하여, 포토샵에서 내보낸 이미지 파일을 가져오고 간단하게 프롬프트를 입력해준다.

크레딧의 제한도 있고 무엇보다 영상을 생성하는 시간이 5초 기준으로 20-30분은 걸려서 많이 테스트를 해보진 못했다. 하지만 아주 정교한 실사 영상을 만드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적당하게 괜찮은 영상이 나오면 만족하며 멈추었다.

이런 CG, VFX같은 영상을 ‘생성’하는 것은 Gen AI 모델들의 성능과는 조금 다른 영역인 것 같다. Sora를 비롯한 다른 서비스들이 각자 강점들이 다른데다가 실사 영상을 기준으로 잡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아무래도 나와 같은 레터링이나 포토샵 효과를 구현하는 것은 클링이 잘 어울렸던 것 같다. 다만 아쉬운 것은 화질이다. 불이 나는 효과같은 것은 잘 학습되서 퀄리티가 좋은데, 프레임 사이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다소 아쉬운 퀄리티이긴 했다.

인터랙티브 웹 만들기 (Cursor)

CleanShot 2024-12-21 at 12.50.44@2x.png

다음으로는 Cursor를 활용해서 웹 개발을 해준다.

Cursor는 vs code와 같은 IDE지만 LLM을 좀더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결합된 프로그램이다. 그동안은 Claude 3.5 sonnet을 자주 써왔다. GPT-4o보다 성능이 훨씬 뛰어났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o1모델이 출시하고 어느정도 안정화가 된 다음부터는 (지금부터는) o1을 자주 사용하고 있다. 어느정도 결과를 기다려야한다는 점은 있지만, 체감 성능이 더 뛰어났기 때문이다.

물론 API의 비용이 있어서 모든 질문을 o1으로 하고있진 않다. 하지만 Cursor의 장점은 컨텍스트는 유지한 채로 모델을 돌려가며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를 적극 활용해서 적재적소에 LLM을 사용하면서 웹 개발을 아주 수월하게 이어나갈 수 있다.

결론

이번 작품 〈Dream-Reality〉는 Adobe 일러스트레이터에 레터링을 시작으로, 포토샵과 Kling, Cursor를 거쳐 인터랙티브 웹을 구현한 프로젝트이다.

디자인 워크프로세스가 더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으며 좀더 실험적이고 기술의 통합과 한계를 넘어서는 다채로운 작업물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까 한다.

0:00
/0:10
Terrapower: 미래 에너지 산업의 비전을 보여주는 웹디자인 post image

테라파워는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가 2008년에 설립한 원자력 발전 회사이다. 탄소가 없는 안전하고 풍부한 에너지를 제공한다는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미국에서 최초로 소형원자로를 건설하고 있다.

오늘은 이 테라파워의 회사 웹사이트를 보며 리뷰해볼 것이다.
관전 포인트는 3가지인데, 첫째는 화면 가득 채우는 동영상의 적재적소 배치와 미친듯한 깔끔함, 그리고 활용성이다.
둘째는 디자인에 있어서 브랜드 컬러를 얼마나 세심하게 ‘자제’하면서 쓰는 모습이다.
셋째는 구이 이펙트(Gooey effect)로 인터랙션 요소를 넣어, 디자인 컨셉을 완성시키는 부분이다.

기업의 랜딩페이지란 이래야 한다는 어떤 이상적이고 모범상이 아닐까 싶다.


테크스택

terrapower_테크스택.png

먼저 이 테라파워 웹사이트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살펴보자.
Vue.js 생태계를 이용하여 웹을 구성했다. Nuxt.js 프레임워크로 웹을 만들었다.
Three.js로 마우스 커서, 구이 이펙트 등의 인터랙션을 주었다.

  • Lenis : 여러 기기에서 스크롤 경험을 표준화하는 부드러운 스크롤 라이브러리
  • Pinia : Vue.js용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섹션1. Natural Balance

0:00
/0:09

기본적으로 영상이 화면을 꽉채우도록 세팅이 돼있다.
스크롤에 따라 프레임이 재생되어 쭉쭉 내리면 자연스럽게 영상을 시청하게 만들어두었다.

테라파워의 메인 컬러는 보라색인데, 이걸 아주 은은하게 구석구석 잘 녹여두었다.
영상을 잘 보면 쉐도우를 보라색으로 맞춰두어 전체적으로 통일된 느낌을 준다.

이런 디테일이 계속 보여질 것이다.

네비게이션 바

terrapower_메뉴.webp

모던한 디자인은 바로 이 상단 네비게이션 바에서부터 뿜어져 나온다.

아주 감탄한 부분은 바로 정렬이다. 나같은 사람이면 세로 축에서 중앙정렬로 맞췄을텐데, 아주 기가막히게 아래 정렬로 세련된 느낌을 살렸다.

자칫하면 촌스럽거나 어긋난 느낌을 만들 수 있다. 하지만 화살표나 적절한 타입의 크기, 굵기 등의 밸런스가 딱 맞아 떨어진다.

메뉴를 눌러 들어가면 레이아웃도 아주 세련되게 구성한 것을 볼 수 있다.
페이지마다의 위계를 주면서 흔하지 않게 아주 잘 풀어냈다.
마우스를 올리면 메인 컬러인 보라색으로 바뀐다.
이런 절제미가 기업의 가치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더불어 이 메뉴는 이후 푸터에도 유사하게 쓰여 효율성을 챙기고 있다.

섹션2. Innovating Response

terrapower_02.png

발전소가 위치한 와이오밍을 뷰포트에 꽉차는 동영상으로 보여준다.
다음 섹션의 소개가 스크린샷에 보이는데, 그레이컬러를 잘 쓰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섹션 넘버는 작게 표시하면서 핵심이 되는 키워드만 강조하고, 설명글은 회색으로 처리했다.
딱딱 떨어지는 깔끔함이 보인다.

섹션3. Unique Symmetry

0:00
/0:07

핵시설과 비핵시설을 분리하여 운영한다는 메세지를 전달하기 위해 3D 영상을 사용했다. Learn more 과 Dot 아이콘은 보라색으로 두어 더 알아볼 수 있도록 링크를 걸어두었다.

이 부분도 굉장히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는데, 보라색을 키 컬러로 사용하면서 화면분할로 시작한 클립이 이어져 메세지를 완성하고 있다.

좌우 분할이었던 영상이 모바일에서는 90도를 돌려, 상하 분리된 모습으로 보여진다. 아주 효율적으로 반응형에 대응하고 있어서 이것도 좋았다.

terrapower_03_mobile.webp

섹션4. Optimized Process

0:00
/0:04

액체 금속을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영상이다. 이 역시 그림자 영역에 보라색을 사용하여 통일성을 가져가고 있다.

섹션5. Stable Network

terrapower_05.png
terrapower_06.png
terrapower_07.png

재생 에너지와 에너지 저장 방식을 소개하는 페이지이다.

2단 분할, 텍스트 박스의 배치를 통해 밋밋하지 않게 계속해서 디자인적 변화를 주고 있다.

트랜지션

terrapower_08-earth transition.webp

이 다음 지구 영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정말 멋있다.

원 형태를 정확하게 맞추어 전환하기 위해서 노력을 많이 했을 것 같다…

섹션6. Clear Advantage

terrapower_09.png
terrapower_10.png

테라파워가 제공하는 나트륨 원자로의 효과에 대해 수치를 제공하는 섹션이다.

카드 형식의 박스들과 아이콘, 타입 체계를 보면 MUJI라던가 일본의 디자인 느낌마저 난다.

섹션7. Beyond Energy 및 푸터

0:00
/0:07

이 섹션은 배경에 3D스타일 핵 원자로 영상을 깔아두고 마무리짓는 영역이다.

우측에 아무 텍스트 없이 위치한 빈 박스가 있다. 끝까지 컨셉을 유지하려는 노력으로 읽힌다.


결론

테라파워의 웹사이트는 기업의 정체성과 기술적 우수성을 시각적으로 완벽하게 표현한 사례로 볼 수 있다.

  • 영상과 인터랙션의 완벽한 조화: 화면을 꽉 채우는 동영상과 구이 이펙트 같은 인터랙션 요소들은 사용자의 눈길을 사로잡는 동시에,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단순히 멋진 디자인에 그치지 않고, 브랜드의 스토리를 깊이 있게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
  • 브랜드 컬러의 절제된 활용: 보라색을 메인 컬러로 설정하되 과하지 않게, 적재적소에 세련되게 배치한 점은 디자인적으로 매우 인상적입니다. 이는 브랜드가 지향하는 "안정성과 혁신"이라는 가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 반응형 디자인의 정교함: 데스크톱과 모바일 환경 모두에서 동일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구조와 인터랙션을 세심하게 최적화한 점은 모든 웹사이트 개발자와 디자이너에게 훌륭한 참고 자료가 될 것 같다.
  • 디테일을 살린 일관된 메시지: 텍스트, 이미지, 영상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며, 세심한 정렬과 배치가 기업의 신뢰도를 더욱 높여주고 있다.

테라파워의 웹사이트는 기술, 비전, 디자인 의 삼박자가 어떻게 완벽한 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모범적인 예시라 본다. 단순히 잘 만든 기업 랜딩 페이지를 넘어, 디자인과 기술의 궁극적 목표를 보여주는 하나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0:00
/0:03
Gus.biz : 크리에이티브에 미친 사람들이 있지 않을까? 싶은 웹사이트 post image

Gus는 뉴욕에 이스트사이드에 위치한 크리에이티브 전략 회사이다. 2020년에 설립된 광고 에이전시로, Spotify, Harry's Inc., Blackstone, Sproos!, Patina, Judy와 같은 회사들의 브랜드 및 크리에이티브 전략을 개발했다.

어느 날 워드프레스로 개발한 웹사이트를 살펴보던 중, 정말 결을 달리하는 웹사이트가 눈에 띄었다. 비주얼 임팩트도 있는 웹사이트가 살펴보니 더 이상한, 괴짜같다는 느낌을 받게 한다. 한번 그 웹사이트를 같이 훑어보면서 간략하게 리뷰를 해보려 한다.


0. Tech Stack

gus_techstack.png

먼저 사용한 기술을 보면, 워드프레스와 플러그인들로 웹을 구축하였다. 여러 시각적 효과는 Three.js로 만들었다.

1. Hero

히어로 섹션의 애니메이션을 보면, 정말 다양하고 재미난 요소들을 넣어둔 것이 인상적이다.

gus_히어로모음 복사본 2.webp
gus_히어로모음 복사본 3.webp
gus_히어로모음 복사본 4.webp
gus_히어로모음 복사본 5.webp
gus_히어로모음 복사본 6.webp
gus_히어로모음 복사본.webp

중간에 갑자기 게임이 나오기도 하고 어떤 영상들이 문을 열고 나오기도 하고 😄

그리드를 정말 잘 활용해서 Playful 느낌을 준 것 같다.

그런데 이것을 어떻게 만들었을까?

그리드를 만들때 단순히 배치한 것이 아니라 모든 요소들이 그리드를 바탕으로 정렬이 되어야 한다.

이 작업이 쉽진 않았을 것 같다.

gus_콘솔.png

---gridCellSize, ---x, —--y값 등을 사용해서 요소들을 CSS 상에서 딱 맞게 배치하려고 한 것 같다.

반응형을 고려하면 까다로운 작업이 아닐까 싶다.

gus_히어로_모바일.gif

모바일로 봐도 아주 잘 작동한다.

2. About

gus_트랜지션.webp

About 페이지로 가보자. 트랜지션 효과도 신경써서 만든 티가 난다.

gus_about.webp

회사 소개와 함께 아코디언에서 다양한 정보를 주고 있다.

‘흠 그렇구나’ 하고 지나치려는 찰나, FAQ를 잘 보면 뭔가 이상한 질문들이 있다.

gus_FAQ.png

‘거스의 화장실 분위기는 어떤가요?’ 라는 질문에 자신들의 스포티파이 플레이리스트를 링크해주었다… 나중에 한번 들어보자…

이외에도 유머가 넘치는 질문과 답변들이 있으니 한번 읽어봐도 괜찮을 것 같다.

gus_about_모바일.gif

데스크탑에서 페이지들의 그리드가 깨지는 이슈가 있긴 한데, 모바일로 보면 괜찮다.

3. Work

gus_work1.webp

Work 페이지를 가보면 여러 작업물을 볼 수 있는데 역시 그리드를 충분히 활용하는 모습이다.

gus_work2.webp

마우스를 올리면 간략한 설명이 오버되며 나타난다.

4. Contact

gus_contact.webp

Contact 페이지에선 그들의 사무실을 소개하고 있다.
사무실이자 갤러리이자 매장이라고 한다.
(내가 지향하는 사무실이기도 하다)

규모가 크지 않은 에이전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5. 푸터

gus_푸터.webp

푸터에도 문구 하나하나 신경을 쓴 것 같지 않은가? 최대한 임팩트를 주려고 한 것 같다. 그리고 먹힌다.

아쉽게도 푸터가 데스크탑 버전에선 아쉽게도 깨져 보인다.


결론

Gus 에이전시는 크리에이티브를 어떻게든 보여주고 자신들이 잘한다는 것을 어필하려 한 느낌이 역력하다. 특히 쉬운 길은 아닌, 그리드 컨셉을 디자인 컨셉으로 가져가며 여러 플레이를 보여준 것이 인상적이었다.

이상한 사람들이 잔뜩 있을 것 같은 크리에이티브 전략 회사 Gus.biz 웹사이트를 둘러보았다. 참고로 링크드인 소개도 평범하진 않았다. 전문 분야에 색소폰이 껴있는 등.. 구석구석 자꾸만 살펴보게끔 만든다…

0:00
/0:05
ToyFight Studio : 엉뚱함 + 유머러스 = 독창적이고 재밌는 경험 post image

ToyFight 스튜디오는 2015년에 설립된, 영국 맨체스터를 기반으로 둔 디자인 스튜디오이다.

“Creating unmistakably original brands and playful digital experiences.”
스스로를 독창적인 브랜드와 재미있는 디지털 경험을 만드는 곳으로 소개하고 있다.이 스튜디오에서는 1. Strategy, 2. Design, 3. Development, 4. Content를 서비스하고 있다.

미리 스튜디오의 웹사이트를 보면 알다시피, 게임기라는 요소를 적극 활용해서 자신만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있다.
어떤 유머러스한 점들이 있는지, 어떤 요소들로 웹 구성을 하였는지 한번 알아보자.

0. 테크 스택

toyfight_테크스택.png

React, Next.js로 웹을 구성했고 Styled-components, GSAP, Three.js를 사용했다.

또 여기서는 나오진 않지만, 관리자도구 콘솔창을 확인했을 때 Spline.design (노코드 3D툴)를 사용해서 3D 모델을 임베딩한 것 같다.

이외에도 사용된 기술 스택은 다음과 같다.

  • Prismic : 잼스택용 헤드리스 CMS
  • Lenis : 여러 기기에서 스크롤 경험을 표준화하기 위한 부드러운 스크롤 라이브러리
  • Howler.js : 웹 오디오 API와 HTML5 오디오를 위한 폴백 메커니즘을 지원하는 오디오 라이브러리

1. 로딩

CleanShot 2024-10-25 at 23.45.22.webp
CleanShot 2024-10-26 at 00.17.55@2x.png

메인 화면으로 넘어가기 전 로딩 페이지부터 봐보자. 픽셀 폰트와 타원, 둥근 네모꼴, 그리고 애니메이션에서 특유의 게임기스러운 느낌을 살리고 있다.

2. 히어로

toyfight_히어로.webp

그 이미지는 히어로 섹션에서도 잘 드러나는데, 게임기를 전면에 내세우면서 A, B 버튼을 눌러볼 수 있게 3D를 임베딩해두었다.

  • 픽셀 폰트는 컨셉이 확고할 때 쓰면 괜찮다. 지금처럼 레트로한 느낌에, 특히 지금처럼 도트 게임을 표현하고 싶을 때가 가장 전형적이다.
  • 국내 폰트로는 갈무리 시리즈, 도스 시리즈가 있다.
toyfight_헤더.png

헤더에 로고 및 작은 사이즈의 폰트들에도 적용되어 있다.

3. 스크롤

toyfight_스크롤.webp

스크롤을 내리면 대표적인, 최신 작업물들과 스튜디오 소개를 하고 있다.

4. 커맨드 터미널

toyfight_커맨드터미널.webp
toyfight_커맨드터미널2.png

이 스튜디오는 웹사이트에 신기한 장치를 하나 해두었는데, 바로 커맨드터미널을 쓸 수 있다는 것이다.
‘/’ 슬래시를 누르면 우측에서 오프캔버스가 나타나 커맨드를 입력할 수 있다.
이걸로 직접 페이지를 이동할 수도 있고, bw(black & whihte), negative 효과를 주어 웹사이트를 흑백 혹은 반전하여 볼 수도 있다.

이런 재미난 장치를 심어둠으로써 좀더 재미나고 유머러스한 사용자 경험을 전달하고 있다.

5. Services

toyfight_services 1.webp

Services 페이지로 가보면, 어떤 것들을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로 어떤 회사들이 있었는지 볼 수 있다.

toyfight_services 2.webp

awwwards, FWA등 수상 내역을 캔버스 인터랙션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양이 어느정도 되다보니 사실 숫자로 적는 것보다도 이러한 식의 전달도 괜찮게 보인다.

6. Work

toyfight_work.webp

Work 페이지로 가면 필터와 함께 작업물들을 살펴볼 수 있다.
썸네일에 마우스를 올리면 커서가 해당 작업물의 제목으로 바뀐다.
우측에는 Featured, All, Branding, Marketing, Website, Content, eCommerce로 구분하여 필터링을 할 수 있다.

toyfight_work 2.png
toyfight_work 3.png

7. 상세페이지

toyfight_상세페이지1.webp

이 중 GSAP 웹사이트를 만든 작업물 페이지로 가보자.

좌측에는 여러 정보들과 작품 소개가 나타나고 우측에는 여러 이미지들이 배치되어 있는 깔끔한 레이아웃으로 구성돼있다.

toyfight_상세페이지 2.png

8. Connect

toyfight_connect.webp

Connect 페이지로 가보면 또 재미난 요소를 볼 수 있다.
Contact가 아니라 연결에 초점을 맞춘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데, 녹음기를 통해 여러 사람들의 육성을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도 우측에 메세지 남기기 버튼을 통해 녹음을 할 수도 있다.

하단에는 포스트잇같은 형태로 비즈니스 메일 주소와 구인중인 포지션을 알려주고 있다.

9. Store

toyfight_store 1.webp

웬 스토어가 있나 했는데 굉장히 전략적으로 재치가 돋보이는 페이지라고 느꼈다.
상품 목록을 보면 하나같이 정상적인 제품들은 없다.

깨진 아이맥, 안쓴 포토샵 라이센스, 각종 요상한 머그컵과 장난감들.
정상적인 제품을 팔지 않는다는 뻔뻔한 여러 문구들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들어내고 있다.
심지어 실제 몇 제품은 구매가 가능한 것 같다…

toyfight_store 2.png

결론

ToyFight 스튜디오는 다소 뻔한 웹 구성을 탈피해서 여러 장치와 스토어 페이지를 넣음으로써, 여러가지의 히스토리와 재치를 잔뜩 뻔뻔하게 표현해냈다는 점에서 아주 좋았다.
이전 포스팅했던 에이전시들에 비해 아주 웹사이트가 기술적으로 심도있다고 생각이 되진 않을 수 있다. (각 스튜디오 만들어낸 작업물의 퀄리티를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어떻게 디테일들을 살려서 브랜딩을 녹여내고 사용자 경험을 설계했는지 보면 정말 감탄스럽다.
아주 깔끔한 화면을 구성하면서 특유의 유머코드를 일관되게 가져가고 있다는 점에서 배울 점들이 있다.
나또한 미니멀리스트에 가까운 성향이라, 더욱 더 세심함에 신경쓰며 보게되고 차용하고 싶은 점들이 있었다.

0:00
/0:05